생성된 server.properties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보면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있습니다.
#Minecraft server properties #Mon Apr 22 21:40:07 KST 2013 generator-settings= 지형 타입 중 FLAT 타입일 경우 세부 설정을 할 때 입력합니다.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세히 보려면 여기(영문)를 클릭하세요. allow-nether=true 네더월드를 활성화합니다. "false"이면 네더월드 포탈을 사용할 수 없게 합니다. level-name=world 맵의 이름입니다. 서버 실행파일이 있는 폴더에 이 이름으로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enable-query=false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true"이면 GameSpy4 프로토콜 서버 리스너를 활성화합니다. allow-flight=false 일반 유저들이 하늘을 날 수 있게 합니다. "false"이면 핵 등으로 5초 이상 공중에 떠 있는 플레이어는 킥 당합니다. server-port=25565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서버 포트입니다. level-type=DEFAULT 지형 타입입니다. "DEFAULT"(기본) / "FLAT"(완전한 평지) / "LARGEBIOMES"(넓은 바이옴) 세 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enable-rcon=false 서버 콘솔의 원격접속 허용 여부를 설정합니다.
level-seed= 월드 생성 시드 값을 입력합니다. 빈 칸이면 랜덤으로 결정됩니다. server-ip= 서버 아이피를 특정 아이피로 지정하려면 입력합니다. 입력한 값이 PC의 공인IP가 아닐경우 여기 입력한 주소로 바로 접속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max-build-height=256 블록을 놓을 수 있는 최대 높이입니다. spawn-npcs=true NPC 스폰을 허용합니다. "false"로 설정하면 NPC들은 스폰되지 않습니다. white-list=false 화이트리스트 사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true"이면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사람들만 접속할 수 있습니다. spawn-animals=true 동물 스폰을 허용합니다. "false"로 설정하면 동물들은 스폰되지 않습니다. snooper-enabled=true 정기적으로 서버 정보를 http://snoop.minecraft.net으로 보냅니다. hardcore=false 하드코어 모드를 설정합니다. "true"이면 한 번 죽은 후 되살아나지 않고 서버에서 영원히 추방됩니다. texture-pack= 텍스쳐팩을 설정합니다. 파일 이름이 아닌 텍스쳐팩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다이렉트 링크를 입력해야 합니다. online-mode=true 온라인모드를 켜거나 끕니다. "true"이면 정품 유저들만이 접속 가능합니다. pvp=true 유저 간의 공격 가능 여부를 설정합니다. "false"이면 다른 플레이어를 공격해도 데미지를 주지 않습니다. difficulty=1 난이도를 결정합니다. "0"(평화로움) / "1"(쉬움) / "2"(보통) / "3"(어려움) 입니다. gamemode=0 게임 모드를 결정합니다. "0"(서바이벌모드) / "1"(크리에이티브 모드) / "2"(어드밴처 모드) 입니다. max-players=20 동시에 접속 가능한 최대 인원 수를 설정합니다. 0~2147483647 범위 내에서 입력 가능합니다. spawn-monsters=true 몬스터 스폰을 허용합니다. "false"이면 몬스터는 스폰되지 않습니다. generate-structures=true NPC 마을, 지하 탄광 등 구조물들의 생성 여부를 결정합니다. "false"이면 생성되지 않습니다. view-distance=10 유저들이 볼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제한합니다. 3~15 범위 내에서 입력 가능합니다. 변경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motd=A Minecraft Server 서버 목록에서 유저들에게 보여줄 서버의 이름입니다.
#2013년 06월 21일 내용 추가
spawn-protection=16 서버의 유저 스폰 영역의 보호되는 넓이를 지정합니다. 0이면 스폰 위치 한 칸만을 보호하며 1이면 스폰 위치를 중심으로 한 3x3 블록, 2이면 5x5블록, 3이면 7x7블록과 같은 형식입니다. 이 옵션은 유저가 처음 접속하고 나면 생성됩니다.
이 외에도 더 많은 항목들을 설정 가능하지만 초기에는 위와 같은 항목만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게임 내에서 커맨드 블록을 사용 가능하게 하려면
enable-command-block=true
라고 입력해야 합니다. 위의 항목은 게임 내에서 한 번 커맨드 블록을 사용하려고 시도한 후에 자동으로 enable-command-block=false라고 추가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