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에서 현재 시간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 한 가지를 소개하자면

 

java.util.Calendar 오브젝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java.util에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물론 안드로이드 뿐만 아니라 일반 자바 프로젝트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다음은 사용 예시이다.

 

public static String GetCurrentTime() {
	String time = "";
	Calendar cal = Calendar.getInstance();
	time = String.format("%04d-%02d-%02d-%02d-%02d-%02d-%03d",
			cal.get(Calendar.YEAR), cal.get(Calendar.MONTH)+1, cal.get(Calendar.DAY_OF_MONTH),
			cal.get(Calendar.HOUR_OF_DAY), cal.get(Calendar.MINUTE), cal.get(Calendar.SECOND), cal.get(Calendar.MILLISECOND));
		
	return time;
}

 

출력되는 포맷은 편의에 맞게 고치면 된다.

이 때 cal.get(Calendar.MONTH)는 "반환값+1"이 실제 달 수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0~12까지의 값을 반환하며 이는 각각 다음과 같이 매치된다.

  0 JANUARY
  1 FEBRUARY
  2 MARCH
  3 APRIL
  4 MAY
  5 JUNE
  6 JULY
  7 AUGUST
  8 SEPTEMBER
  9 OCTOBER
 10 NOVEMBER
 11 DECEMBER
 12 UNDECIMBER

 

시간(hour)을 얻어오는 cal.get(Calendar.HOUR_OF_DAY)는 24시 표현으로 시간 값으로 반환한다.

Posted by Kugi
,



그 동안 티스토리 블로그에 포스팅한 글을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네이버에 블로그 등록 신청을 하고 피드 발행을 해야만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고,

 

실제로도 그랬던 것 같은데

 

오늘 우연히 검색을 해 보니 RSS 발행을 하지 않은 글이 네이버 검색에 노출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네이버 검색 엔진이 약간 수정된 것일까요? 아무튼 제 입장에선 좋은 일이네요.

 

RSS 발행이 30개로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네이버 검색에 노출되는 글이 30개로 제한되어버린다는 몇몇 블로그 포스팅을 본 적이 있었기 때문이죠.

 

만약 피드 발행을 하지 않았더라도 검색이 되는 것이라면 30개가 넘는 글을 포스팅해도 모두 검색에 노출될 수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YAMAHA TRBX504 구입 후기  (0) 2014.02.06
블로그 누적 방문자 수가 100,000명을 넘었습니다.  (0) 2013.10.30
Flag Counter  (0) 2013.04.18
블로그가 광고 스팸댓글로 테러를 당했습니다.  (2) 2013.03.22
블로그 개설  (0) 2012.09.14
Posted by Kugi
,



간만에 블로그 관리를 위해 접속해보니 웬일로 새로운 댓글이 100개가 달려있었습니다.

 

블로그를 개설한 이래로 여태까지 달린 댓글은 고작 1개 뿐이었는데 무척 놀라웠지요.

 

그런데 자세히 보니 내용이 영 이상한 문장들로, 그것도 죄다 같은 내용으로 차 있었습니다.

 

 

 

일일 방문자도 무려 142명이나 되었습니다. 여태 없던 일이죠.

 

 

 

"매우 지원 및 이월하고 있습니다."

 

이런 댓글이 모든 글에 몇 개씩 달려있었습니다.

 

이게 뭔소리인가 싶어 곰곰히 생각을 해 봤지요.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이 내 블로그에서 뭔가 도움이 되었다는 소리일까, 이월은 또 뭔소리지.. 하고 있었는데

 

유저이름을 클릭하니 나온 곳은 외국의 의류 판매 사이트였습니다.

 

참, 괜히 가슴설레었던 순간이었습니다. 실체를 알고 나니 허무하네요.

 

아무튼 이 100개의 댓글과 1개의 방명록 글은 다음과 같은 4개의 IP 주소로부터 작성된 것이었습니다.

 

58.49.237.63
61.183.15.233
61.183.15.244
114.80.156.135

 

 

 

지금은 모두 차단하고 삭제한 상태입니다. 찾아보니 네 개의 주소 모두 중국 IP였네요.

 

다음엔 이런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구글에서 랜덤하게 검색되어 찾아온 듯 한 느낌입니다.

 

괜히 이번에 논란이 된 국내 해킹 사건의 여파는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구요.

 

[2013/04/25] 몰랐는데 관리모드에서 확인해보니 스팸등록 된 아이피 및 작성자의 댓글들은 자동으로 휴지통으로 보내지는 것 같습니다.

잠잠한 줄 알았더니 하루에도 몇 개씩 달아놓고 가는것이었네요.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YAMAHA TRBX504 구입 후기  (0) 2014.02.06
블로그 누적 방문자 수가 100,000명을 넘었습니다.  (0) 2013.10.30
Flag Counter  (0) 2013.04.18
티스토리 블로그의 네이버 검색 노출  (0) 2013.03.24
블로그 개설  (0) 2012.09.14
Posted by Kugi
,



개발 환경을 새롭게 세팅하면서 이클립스 및 안드로이드 개발 툴 등을 새로 설치하게 되었다.

 

이클립스 : eclipse-jee-juno-SR1

안드로이드 sdk : android-sdk_r21.1-windows

 

(jdk는 미리 설치하였으며 버전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이클립스 Help 메뉴의 "Install New Software..." 를 통해 ADT를 설치하였는데 (Android ADT - http://dl-ssl.google.com/android/eclipse)

 

 

(여기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생략)

 

설치가 끝났는데도 ADT 관련 툴바 아이콘 및 메뉴가 보이지 않았다.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인가 의심이 되었으나 찾아보니 결국 문제는 아이콘 및 메뉴가 표시되어있지 않은 것 뿐이었다.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하의 방법을 이미 적용한 후 알아차린 것인데, Open Perspective에서 "Java" perspective를 열면 그냥 문제 해결인 듯 하다.)

 

 

 

굳이 Java EE perspective에서 ADT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다음의 단계를 따라하면 된다.

 

 

 

Posted by Kugi
,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을 위해 액티비티 레이아웃 xml 파일을 작업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Warning을 만날 수 있다.

 

[Accessibility] Missing contentDescription attribute on image

 

ImageView를 추가하고 이에 대한 contentDescrioption을 빼먹었다는 뜻이다.

 

무시해도 상관은 없지만 노란 경고 표시가 보기 싫다면

 

이 경고 메시지를 없애기 위한 3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 방법은 경고가 말하는대로 빠뜨린 contentDescription을 추가해주는 방법이다.

 

다음과 같이

 

android:contentDescription="@string/contentDescription"

 

를 추가해주면 경고가 사라진다.

 

 

 

contentDescription을 일일히 써주는게 싫다면 개별적인 경고를 무시하는 방법도 있다.

 

다음과 같이

 

tools:ignore="ContentDescription"

 

를 추가해주면 되는데, 이 때 tool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가 추가되어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error: Error parsing XML: unbound prefix

Attribute is missing the Android namespace prefix

 

이러한 에러가 생긴다.

 

이 방법을 적용하면 아래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ignore를 추가해준 부분에 대해서만 경고가 사라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방법들이 모두 귀찮다면 아예 해당하는 모든 경고를 무시하는 방법이 있다.

 

이클립스의 메뉴중에서

 

[Windows -> Preferences -> Android -> Lint Error Checking]

 

을 찾아가서 contentDescription 항목을 warning 레벨에서 Ignore 레벨로 바꾸어주면 된다.

 

Posted by Kug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