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7년 남북 정상회담에서 NLL을 포기하겠다는 발언을 했는지 안했는지를 놓고 여야간의 논쟁이 생겼습니다.

 

결국 기밀문서로 간주되던 정상회담의 회의록 전문이 일반에 공개되기까지에 이르렀네요.

 

 

NLL은 Northern Limit Line(북방한계선)의 약어로, 정전협정 당시 UN에서 설정한 해상의 경계선으로써,

 

이 경계선 주변 해역의 출입을 통제하도록 한다는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NLL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북방한계선 (네이버 두산백과)

 

  ☞ NLL (네이버 지식백과)

 

  ☞ 북방한계선 (위키백과)

 

 

 

다음은 공개된 회의록의 전문입니다. 내용이 꽤 깁니다.

 

<1차 회의>와 <2차 회의>로 내용을 나누었습니다. 아래의 <더보기> 탭을 눌러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 뉴스 조선일보닷컴

 

 

요즘 시간이 많이 없어서 훑어보기만 하고 아직 전체 원문을 다 읽어보지는 못했네요.

 

새누리당에서 주장했던 고 노무현 전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이 직접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또 논란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쪽에서는

 

"야당은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영토 포기 발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완전 김정일에게 맞춰주고 있지 않는가. 김정일이 원하는것이 무엇이겠는가, 고 노무현 전대통령의 발언은 문맥 상 NLL을 포기한다고 한 것이나 다름없다. 북한은 어선조차 해군이 관리하지 않는가. 군을 물리면 우리만 손해이다."

 

라고 주장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새누리당은 거짓말의 대가를 치러야한다. 외교하면서 우리만의 입장을 요구하는 것 처럼 보일 수는 없지 않는가. 게다가 영토를 포기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양측 군이 출입하지 않는 경찰력으로 관리되는 평화 해역을 만들자는 뜻이다. 군대간의 접촉을 피함으로써 예전의 연평해전같은 참사를 막을 수 있다."

 

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민감한 사안인만큼 섣부른 판단은 피해야겠습니다만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고 노무현 전대통령의 발언들이 영토 포기를 의도하는 것은 아니라는 쪽에 조금 더 무게가 있는 듯 보입니다.

 

결말이 어떤 식으로 흘러갈 지 궁금하네요.

Posted by Kugi
,



 

흥미롭네요.

 

 

 

 

Posted by Kugi
,



인터넷에서 구한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이클립스에서 실행시켜보려고 했는데 에러 표시가 생겼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에러 원인은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 설정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다음의 에러이다.

The import android cannot be resolved

 

Android SDK 및 Build Path 등의 설정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여 프로젝트 설정을 변경하려고 했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 팝업이 떴다.

The currently displayed page contains invalid values.

 

 

여러 번 테스트 해 본 결과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마우스 오른쪽클릭 후 나오는 팝업메뉴에서 [Properties] 창을 열었을 경우,

  OR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마우스 오른쪽클릭 후 나오는 팝업메뉴에서 [Properties] -> [Android] 항목을 선택했을 경우에

 

창이 제대로 열리지 않고 위와 같은 메시지가 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던 중,  이클립스를 다시 실행시켰더니 콘솔에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뜨는 것을 발견하였다.

Project has no project.properties file! Edit the project properties to set one.

 

[project.properties] 파일이 누락되어 있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다.

 

이 경우, 간단하게 프로젝트에 [project.properties] 파일을 추가해주면 된다.

 

파일에 아무런 내용이 없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찝찝하다면 다음의 예시를 참고하면 된다.

 

 

 

 

프로젝트에 [project.properties] 파일을 추가하고 나면, 이제 정상적으로 [Properties] 창이 열린다.

 

 

필자의 경우, 라이브러리를 정상적으로 불러오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Properties] 창의 [Java Build Path]에서 [Libraries] 탭에

 

[Unable to get system library for the project] 라는 항목이 있었는데 이것을 제거한 후에

 

[Properties] -> [Android] 항목을 열어서 다음 이미지와 같이 적당한 버전의 Build Target을 선택해 주었다.

 

* 참고로, 이 항목은 Android SDK 및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어야만 나타난다.

 

 

[Apply] 버튼을 눌러서 적용시키고 나면 [Package Explorer] 및 속성 창에서 프로젝트에 정상적으로 라이브러리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Posted by Kugi
,



소켓을 통해 서버에서 전송받은 .mp4 녹음 파일을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재생하려고 했는데

 

다음과 같은 예외를 만났다.

 

error (1, -2147483648)
java.io.IOException: Prepare failed.: status=0x1
at android.media.MediaPlayer.prepare(Native Method)

 

	if ( player == null )
	{
		player = new MediaPlayer();
		player.setOnCompletionListener(comlistener);
	}
	player.setDataSource(filePath);
	player.prepare();
	player.start();

 

그래서 위와 같이 되어 있던 소스를 다음과 같이 FileDescriptor를 이용하도록 바꾸어보았다.

(참고로, 'player' 변수의 null 검사 부분의 조건문은 이 글에서 별로 중요하지 않다. 단지 변수의 객체 타입을 파악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제외하지 않았다.)

 

	if ( player == null )
	{
		player = new MediaPlayer();
		player.setOnCompletionListener(comlistener);
	}
				
	File sourceFile = new File(filePath);
	if ( sourceFile.exists() )
	{
		FileInputStream fs = new FileInputStream(sourceFile);
		FileDescriptor fd = fs.getFD();
		fs.close();
		player.setDataSource(fd);
		player.prepare();
		player.start();
	}

 

그러자 이번엔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했다.

 

Unable to to create media player
java.io.IOException: setDataSourceFD failed.: status=0x80000000
at android.media.MediaPlayer.setDataSource(Native Method)

 

스트림이 닫히는 순서가 문제일까 싶어서 다음과 같이 FileInputStream의 닫는 순서를 약간 변경해보았다.

 

	if ( player == null )
	{
		player = new MediaPlayer();
		player.setOnCompletionListener(comlistener);
	}
				
	File sourceFile = new File(filePath);
	if ( sourceFile.exists() )
	{
		FileInputStream fs = new FileInputStream(sourceFile);
		FileDescriptor fd = fs.getFD();
		player.setDataSource(fd);
		fs.close();	// 데이터 소스를 설정한 후 스트림을 닫았다.
		player.prepare();
		player.start();
	}

 

이번엔 파일이 정상적으로 다운로드 되어있는 경우, 문제 없이 재생이 되었다.

 

0x80000000 예외일 경우 대부분 파일이 잘못된 경우가 많으니 파일 크기를 확인하거나, 먼저 다른 플레이어로 재생해보는 편이 좋다.

Posted by Kugi
,



인디그룹 아키버드(Aquibird)의 2집 앨범 '오! 소소'에 수록된 '쓸쓸하고 씁쓸하고' 입니다.

 

 

 

 

Posted by Kugi
,